에어컨의 원리와 점검요령 시원한 여름 준비 자동차 관리법

에어컨의 원리를 알아두면 고장을 찾기가 쉽다. 찬바람이 나오지 않는다면 압축기가 고장났거나 냉매가 부족한 것이다. 냉매는 리시버 드라이어의 검사창을 통해 확인하고 새는 곳이 있다면 찾아서 보수를 한다. 냉매는 차종에 맞게 적당한 양을 보충하고 냉각팬의 작동과 에어컨 벨트의 장력도 검사한다. 모든 정비가 끝났으면 곰팡이제거제로 에어컨을 소독한다

 

액화기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없애고 핀이 찌그러졌다면 바로 세운다

모터가 돌지 않으면 퓨즈와 릴레이의 단선 여부를 점검한다

에어컨 벨트의 장력은 손으로 눌렀을 때 5~10mm늘어나는 정도가 정상이다
새는 곳 찾아 고치고 냉매 보충해야
곰팡이제거제로 에어컨 내부 청소


에어컨은 압축기와 액화기, 기화기로 이루어져 있고 각 부분은 금속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다. 압축기가 압력을 가하면 냉매가 순환하고 곧 액화기를 거쳐 열을 내놓는다. 액체가 된 냉매가 금속파이프를 통과하면서 갑자기 파이프지름이 넓어지는 흐름조절장치를 지나면 압력이 급속하게 낮아져 차가운 가스로 변하게 된다. 기화기는 이 과정을 통해 차가운 공기를 만든다. 이 공기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지나며 습기가 마르고 블로어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그러면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점검에 들어가보자. 고장난 에어컨을 고치고 냉매를 보충하는 일은 장비가 없는 오너 드라이버가 하기 힘든 일이다. 그러나 점검을 통해 어디가 고장인지를 알면 고치기가 훨씬 쉬워진다. 에어컨을 켰을 때 ‘딸깍’하고 소리가 나면 일단 유압스위치는 정상이다. 찬바람이 나오고 풍량이 제대로 조절된다면 블로어도 정상인 셈. 소리가 나지 않거나 찬바람이 나오지 않는다면 에어컨 냉매가 부족하거나 유압스위치가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
냉매는 원통모양의 리시버 드라이어의 검사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검사창이 깨끗하다면 정상이거나 냉매가 전혀 없다는 뜻이고 흐릿하다면 냉매가 많거나 습기가 제대로 제거되지 못한 것이다. 검사창에 거품이 많다면 냉매가 부족하거나 공기가 들어갔기 때문이다. 물 흐르는 흔적이 길게 남아 있다면 마찬가지로 냉매가 부족하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해서 바로 냉매를 보충하는 것은 성급하다.
냉매는 보통 파이프의 연결부위에서 새거나 액화기, 기화기가 터져서 새는데 이를 수리하지 않고 보충해봐야 ‘밑빠진 독에 물 붓기’인 셈이다. 냉매주입구나 금속 파이프의 연결부위, 액화기의 핀 사이를 눈으로 관찰해 터진 부분이 있나 살펴본다. 보통 그 부분은 냉매와 오일이 먼지와 달라붙어 더러워져 있으므로 쉽게 찾을 수 있다. 발견되지 않는다면 정비소에 가서 냉매를 보충해달라고 하기 전에 압력게이지로 새는 곳을 잡아달라고 하면 된다. 냉매를 보충할 때는 차종에 맞게 적당한 양을 넣어야 한다.
에어컨 냉각팬에 이상이 생겨도 찬바람이 잘 안나온다. 이럴 때는 전기장치에 문제가 생긴 경우다. 퓨즈가 끊어졌거나 배선에 전기가 흐르는지 확인하고 이상이 없다면 모터를 교환한다. 압축기는 엔진의 크랭크샤프트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있다. 이 벨트의 장력이 적정치(5∼10mm)를 넘어 느슨해졌다면 압축과 냉각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자기차의 적정주기를 참고해 교환하도록 한다.
이런 순서를 거쳐 가스를 보충했다면 마무리는 에어컨 청소다. 에어컨과 히터는 온도와 습기가 있어 세균이 살기 딱 좋은 장소다. 장기간 쓰다보면 퀴퀴한 냄새가 나고 심하면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수도 있다.
에어컨을 분해해서 직접 청소를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냄새제거제나 소독용 훈증기를 사용한다. 스프레이식 냄새제거제는 공조장치를 외기유입에 맞추고 보네트 위 공기흡입구에 뿌려 쓰면 된다. 소독용 훈증기는 공기유입을 막고 실내순환을 선택, 창문을 닫고 10여 분간 소독하는 방식이다. 두 가지 모두 시중에서 몇 천 원대에 살 수 있다.

덧글

댓글 입력 영역